안녕하세요 한소희입니다. 공부를 통해 배운 내용을 작성하고 있습니다. 혹여 해당 포스팅에서 잘못된 부분이 있을 경우, 알려주시면 빠르게 수정 조치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목차
ls 구현하기
컨테이너의 상태 확인하는 방법
Docker의 생명주기
Redis(이하 레디스)를 도커 환경에서 실행해보기
01. ls 구현하기
ls란, 해당 디렉토리디렉터리 내 파일이나 어떤 디렉터리가 있는지 리스트로 보여주는 명령어다. 이는 아래와 같은 코드를 이용해 구현할 수 있고, 구현 결과는 다음과 같다.
docker run alpine ls
이처럼 ls를 뒤에 적어주면, 현재 디렉토리 내 파일의 리스트를 위와 같이 보여준다.
지금 나는 alpine 라는 이미지를 불러왔다.
🔥 ls가 실행되지 않는 이미지?
가령 hello-world 에는 ls 가 실행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hello-world 에는 ls를 실행할 수 있는 파일들이 없기 때문에, 나오지 않는 것이다. apline의 경우에는, ls를 실행시킬 수 있는 파일들이 alpine 이미지 내에 존재하기 때문에 위에서 실행이 되었던 것이다.
02. 컨테이너의 상태 확인하는 방법
# 현재 실행중인 컨테이너만 보는 방법
docker ps
# 모든 컨테이너를 보는 방법
docker ps -a
위와 같은 코드를 작성하면, 위 사진과 같은 결과물이 출력된다. 이는 컨테이너의 상태를 나타낸다.
컨테이너의 상태(STATUS)의 종류는 무엇이 있을까?
1. UP : 실행중 2. Exited : 종료 3. Pause : 일시정지
PORT 란? 컨테이너가 개방한 포트와 호스트에 연결 설정한 포트
NAME 이란? 컨테이너의 이름. --name 옵션으로 지정하지 않으면, 도커에서 알아서 임의 이름으로 지정해준다.
만약 특정 성질만 보고 싶다면 특정 부분만 지정해줄 수 있다.
방법은 아래 코드와 같다. 코드의 예시는, 성질 중 Names와 Image를 보고자 할 때를 나타낸다.